목록국어국문학, 풍월을 읊다 (60)
adikastos
강현화(2007)에서는 ‘±강제성, ±상하관계, ±화/청자도움’을 기준으로 하여 지시적 화 행을 ‘명령, 권고, 요구, 부탁, 제안, 제의’로 구분하였으며, 말뭉치 분석을 통해 나타난 39) 강현화(2007)에서는 Norbert Schmit(2004) 다단어 구성체(Multiword units, MWUs)의 정 의를 빌려 이러한 다단어 구성체 중 어휘구(Lexical phrases 혹은 Lexical chunk), 즉 모어 화자가 높은 빈도로 사용하는 상투적인 언어표현을 ‘표현문형’이라고 정의하였다. 어휘구는 보통 심리언어학적으로 하나의 단위(Unit)로 저장되고 처리되는데, 보통 빈칸(Slot)을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 다른 단어로 대체되어 생산적으로 쓰이는 관습적 어휘패턴이 표현문형 에 해당한다고..
ㄷ. 갑: 마감시간 다 됐어. 을: (원서를 들고 뛰어 간다.) (장경희:2005:203의 예문) 뿐만 아니라 아래 예문 (26)에서와 같이 (26ㄱ)은 (26ㄴ)에 비해 언어 표현만 보면 지시 강도가 약한 표현을 사용하였지만, 화자와 청자의 지위 관계를 고려할 때에 (26 ㄱ)에서의 지시가 더 강력한 구속성과 강제성을 지닐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26) ㄱ. (회장이 일하는 사람에게) 복도가 너무 지저분합니다. ㄴ. (지나가는 사람이) 제발 복도 좀 치우세요. 너무 지저분해요. (장경희:2005:204의 예문) 한편, 하길종(2001:13-16)에서는 언어 외적인 요소의 정도성을 모어 화자에 대한 설 문조사로 측정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래 (27) 예문에서 ‘어머니의 표 정’에 따라 해..
한편, 지시화행을 공손성의 측면에서 다룬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그 시발점은 (23ㄹ) Brown & Levinson(1978)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요청의 행위가 체 면위협행위(FTA)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요청은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23ㅂ)과 같이 요청을 전략적 측면에서 유형화하고 문화권별로 그 양상을 비교한 연구로는 Blum-Kulka(1984), Trosborg(1995)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 한 연구들은 Wierzbicka(1995)와 같은 상호문화연구자들로 하여금 개별 문화권의 특 수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시화행의 형태적 구 조에 천착하여 이를 유형화하고자 한 연구에는 (23ㅅ) 등이 있다. (23) 지시화행..
그 외에 특히 맥락의 고려가 중요한 영역인 공손성에 대한 연구들(전혜영1995, 고인수1995 등)과 쓰 기 분야(홍혜준 2005 등)를 중심으로 맥락과 문법 형태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꾸준 히 이루어져 왔으나, 명시적으로 국외 맥락 이론을 적용한 맥락 문법(grammar in con text)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은 강현화(2007)에 이르러서이다. 강현화(2007)에서는 맥락과 문법 형태의 유기적 연결 관계에 대해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개별 문법 형 태의 사용에 작용하는 맥락 요인이 형태마다 상이함을 밝히고, 맥락 기반 분석법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어교육에서 맥락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 향성을 제시한 기념비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아래 (22)는 한국어교육학에서의 맥..
특히 미국의 SLA 연구에서는 Halliday(1976) 기능 문법적 사고관의 영향을 받 아 문법 교육에서의 맥락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는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하 였는데, 대표적으로 Celce-Murcia & Olshtain(2000)에서는 ‘사람이 말하고 쓸 때 주변 에서 일어나는 사건(Halliday 1991:5)’으로 맥락을 정의하며, 인간의 의사소통이 상황 맥락과 공유된 지식에 매우 의존하고 있음을 강조한 바 있다. 나아가 Hewing & He wings(2005)에서는 맥락 변인이 그에 적절한 어떠한 언어 표현을 만들어내는가(Hewi ngs 2005:17)에 관심을 두었으며, 맥락의 유형을 아래 과 같이 제시하기도 하였다. Hewing & Hewings(2005:20) 맥락 요인 이 연구..
(18) “모든 발화는 본질적으로 ‘상황적 맥락’과 ‘지향하는 목적’에 관련되어 있 다. 그것이 대상의 움직임에 대한 간단한 기술이든, 주변 환경에 대한 언급이든, 행동, 명령의 말들, 행위 간 상관관계와 밀접하게 연관되는 감정이나 열정의 표현 이든 모두 그러하다. 이 모든 언어 요소들의 체계는 언어 표현을 포함한 행위 과 정과 불가분의 관계이자 상호의존적 관계이다. 그 특성에 의해 기술적으로 엄밀히 구분되어 쓰이는 특정 어휘의 경우, 그 의미는 행위에 비교적 덜 종속적이다.” Malinowski(1923:310-311, 필자 번역)31) 한편, 이러한 경향성과 별개로, 미국에서는 사피어(Sapor) 등의 상대주의적 언어관 의 영향을 받아 60년대 초 Labov(1966)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이 발달하기..
본 연구에서는 기능주의적 관점인 ‘사용되고 있는 언어로서의 담화’에 집중하여, 담 화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과 그 상황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언어 행위’로 정의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구어 담화상에서 발생하는 지시화행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구어성이 높은 준구어 자료인 드라마 담화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드 라마 담화에서 나타나는 장면이 일상, 업무, 연설, 취재 등 공통된 의사소통 목적을 중심으로 구분된 것을 ‘장르’로 보았으며, 담화상에서 나타나는 장소의 격식성(formalit y)과 비격식성(informality), 주제의 공적(public) 속성과 사적(private) 속성을 ‘사용역’ 으로 기술하였다. 2.1.2. 담화의 단위 담화의 기본 단위에 대한 논의는 아래 에서와 같이 ..
ㄱ. 문장, 절 이상의 더 큰 언어학적 단위로서, 발화된 대화나 쓰인 텍스트 (Michael Stubbs 1983:1) ㄴ. 담화 분석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구어의 구조에 초점을 두며, 텍스트 분석 은 문어의 구조에 초점을 둠 (David Crystal 1987:116)26) ㄷ. 텍스트는 ‘사용으로서의 언어’의 한 단위로 형태의 단위가 아니라 의미적 단위에 가까움. 절이나 문장과 같은 문법적 단위가 아니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26) Discourse analysis focuses on the structure of naturally occurring spoken language, (interview, conversation,...) Text analysis focuses on the structure ..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지시화행 발화의 화용소(pragmeme)가 나타나는 형태적 요소를 ‘문형’으로 보았는데, 이는 대개 한국어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내용이 되는 목표 문법 형태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화행은 형태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 에 ‘지시화행 문형의 전수 목록’을 제시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 나, 지시화행을 수행하는 발화 중 고빈도로 나타나는 형태를 그 쓰임과 함께 보이는 것은 사용의 양상을 구체화하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시화행 발화에서 사용되는 문형 중 몇 가지를 그 담화적 쓰임과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3] 사용적 측면 사용적 측면은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맥락에 관한 부분이다. Brown..
이는 문법이 고정되어 있거나 정적인 것이 아니며 끊임없이 진화하고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이 잘 드러나 있는 개념 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에서 지시화행의 발화에 대한 연구는 명령문과 지시화행이라는 형태 중심적 접근과 기능 중심적 접근의 오랜 각축을 드러내는 영역이다.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분야에 따라 (12ㄱ)과 같이 명령형 종결어미에 관한 연구(Ridel 1881, 유길준1904, 190 6, 김규식 1909, 주시경 1910, 김희상 1911, 김두봉 1916, 이규방 1922, 안곽 1923, 홍기 - 20 - 문 1927, 정렬모 1948, 람스테트 1952 등), (12ㄴ)과 같이 형태론적 관점에서 명령문을 구성하는 문법형태소를 다룬 연구(고영근 19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