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ikastos
발화의 상황적 맥락과 지향하는 목적 본문
(18) “모든 발화는 본질적으로 ‘상황적 맥락’과 ‘지향하는 목적’에 관련되어 있 다. 그것이 대상의 움직임에 대한 간단한 기술이든, 주변 환경에 대한 언급이든, 행동, 명령의 말들, 행위 간 상관관계와 밀접하게 연관되는 감정이나 열정의 표현 이든 모두 그러하다. 이 모든 언어 요소들의 체계는 언어 표현을 포함한 행위 과 정과 불가분의 관계이자 상호의존적 관계이다. 그 특성에 의해 기술적으로 엄밀히 구분되어 쓰이는 특정 어휘의 경우, 그 의미는 행위에 비교적 덜 종속적이다.” Malinowski(1923:310-311, 필자 번역)31) 한편, 이러한 경향성과 별개로, 미국에서는 사피어(Sapor) 등의 상대주의적 언어관 의 영향을 받아 60년대 초 Labov(1966)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이 발달하기 시작하였 다.32) 초기에는 인디언 언어 등 소수민족 언어에 대한 인류학적 관심으로부터 시작되 었으나, Labov(1966)을 기점으로 하여 사회언어학은 계층, 성별, 출신지 등 여러 사회 학적 요인들과 언어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물론, 사회언 30) Firth(1951)는 런던을 중심으로한 유럽권 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북미권의 Halliday(1976) 에 큰 영향을 미쳤다. Halliday(1976)를 ‘신훠스주의자’라고 하는 경향도 있었으나, 추후 Halliday(1976) 기능체계 문법이 구체화되면서, Firth(1951)과는 변별되는 기능문법의 시작 이 도래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31) “Each utterance is essentially bound up with the context of situation and with the aim of the pursuit, whether it be the short indications about the movements of the quarry, or references to statements about the surroundings, or the expression of feeling and passion inexorably bound up with behavior, or words of command, or correlation of action. The structure of all this linguistic material is inextricably mixed up with, and dependent upon, the course of the activity in which the utterances are embedded. The vocabulary, the meaning of the particular words used in their characteristic technicality is on less subordinate to action.” (Kepa Korta 2008:1649:1650 재인용, 밑줄은 필자) 32)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이란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Currie(1952)이다. 국내에서는 70 년대 이후로 방언학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적 관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 38 - 어학에서 방점을 두고 있는 맥락은 앞선 기능 문법론이나 의미론에서와 달리, 보다 거시적인 차원의 맥락, 즉, 이데올로기나 사회의 매커니즘에 대한 것인 경향성이 있지 만 언어 사용을 언어 외부의 사회적 요인과 연관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지니 고 있다는 점에서 앞선 연구들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사회언어학의 여러 방법론 중 하나인 담화분석론에서는 앞선 기능문법과 유사 한 방식의 담화 기반 맥락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특히 Clark(1995), Fairclough (1995, 2003), Woadk(Fairclough and Wodak 1997; Woadk and Chilton 2005), van Di jk(2001), van Leeuwen(2008) 등에서는 사회언어학 연구의 일환으로 비평적 담화분석 론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연구들로, 개인의 언어는 사회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담화로 서 나타난다고 보고,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과 성별, 이념, 신분, 계층, 종교, 국적, 인종 등을 텍스트로 산출된 언어와의 관계 속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자 하였다. 이러 한 비평적 담화 분석에서는 주로 질적인 연구 방법론을 적용한 사례가 많았는데, 일 기나 인터뷰 연구(Northon 2000; Motha 2006), 비판적 교육학적 교실 연구(Morgon 1 994; Crookes and Lehner 1998; Benesch 2001), 비판적 담화 분석(Fairclough 1992, V an Dijk 2001, Blommaert 2005), 비판적 민족지학(Toohey 2000; Talmy 2005, 2008)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의 양상을 보였고, 다양한 측면에서 거시적인 맥락을 담화 분 석 연구에 적용하고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담화 분석 연구자인 Van Dijk(1995:113)는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비평적 담화분석에서 나아가 담화인지적 관점에 있어서도 심도 깊은 논의를 이루었는 데, 아래 (19)는 Van Dijk(2006)에서 제시하고 있는 ‘맥락’에 관한 기술이다. (19) “그러나 이 발화의 다양한 ‘환경’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 예를 들어, 전통 적으로 ‘맥락’이라고 불리는 사회적, 정치적, 제도적, 문화적 조건들과 중요성에 대 해서 모두가 동의하지는 않는다. 언어학에서뿐만 아니라 담화분석이나 대화분석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도 대화나 텍스트, 즉 언어 그 자체에 주로 집중해 오고 있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독립적인 접근법은 방대한 연구 범위로 확산 되거나 ‘맥락적 요소’의 연구 같이 끝과 경계가 없는 정도로 이어져 텍스타나 대 화, 그 자체를 분석하고자 하는 주목적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33) . 33) There is less agreement, however, about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the various ‘environments’ of this speech, for example, of the social, political, institutional or cultural - 39 - (Van Dijk 2006:160, 필자 번역) 또, Austin(1962), Searle(1979, 1992, 1996), Levinson(2000) 등 화용론(pragmatics) 이론가들 역시 언어 연구에서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때의 맥락은 문장을 벗어나 언어 사용에 작용하는 상황적 지식을 의미한다. 이들은 주로 통사론의 의미 단위인 문장이 의미를 나타내는 데에 완전하지 않음을 지적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대화’를 주요한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대화에서 나타나는 원리 및 규칙들에 관심을 두었다. 뿐만 아니라, 수사학적 전통에 기반하고 있는 텍스트언어학에서도 맥락에 대한 관 심이 주요하게 다루어졌는데 특히 텍스트 내 맥락과 텍스트 간 맥락(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들은 주로 문어 담화를 텍스트로 보았으며, 텍스트 의 속성, 텍스트의 장르, 그리고 텍스트와 텍스트 간에 지니는 관련성 등에 대하여 분 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래는 텍스트언어학 중에서도 텍스트의 구조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자 하였던 Zifonun(1986) 맥락 발화에 기술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20) “사례 A에서 내적으로 다명제성을 지닌 단일-언표수행적 단위에 관한 것 이 문제가 된다면, KOMA-위상을 개별명제들 간의 맥락 의미론적인 관계에서 전 개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이희자 옮김2002, 재인용) 그 밖에도, Hymes(1972)은 맥락을 ‘담화의 형식과 내용, 배경, 참여자, 목적, 음조, 커뮤니케이션 수단, 장르와 상호작용의 규칙’이라고 정의한 바 있으며, van Dijk(1995: 113)는 ‘직관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의 추상화’라고 기술하였 고, Lyons(1999)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참여자의 지위, 언어활동의 시간과 공간, 상황의 공식성 정도, 커뮤니케이션 매체, 커뮤니케이션 주체의 담화와 언어활동의 주체 및 커 뮤니케이션 상황의 적정성 정도를 포함하는 지식 체계’라고 정의하였다. conditions and consequences that are traditionally called its ‘context’. In linguistics as well as in many directions of discourse and conversation analysis there has been a strong tendency to uniquely or primarily focus on language, talk or text ‘itself’. Such ‘autonomous’ approaches are reluctant to open the floodgates or the possibly endless or boundless ways such ‘contextual’ studies may detract from the main task of describing text and talk ‘in its own terms.’(밑줄은 필자) - 40 - ‘언어 맥락’에 대한 이러한 분야별 연구는 90년대에 이르러 언어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주도적인 영향력을 나타냄에 따라 언어교육학 안에서 조명되기 시작한 다.
'국어국문학, 풍월을 읊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락과 문법 형태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0) | 2020.09.04 |
---|---|
기능 문법적 사고관과 인간의 의사소통 (0) | 2020.09.04 |
구어 담화상에서 발생하는 지시화행의 사용 양상 분석 (0) | 2020.09.04 |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구어의 구조 (0) | 2020.09.04 |
지시화행 발화의 화용소의 형태적 요소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