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dikastos

지시화행 발화의 화용소의 형태적 요소 본문

국어국문학, 풍월을 읊다

지시화행 발화의 화용소의 형태적 요소

②℃ 2020. 9. 4. 12:00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지시화행 발화의 화용소(pragmeme)가 나타나는 형태적 요소를 ‘문형’으로 보았는데, 이는 대개 한국어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내용이 되는 목표 문법 형태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화행은 형태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 에 ‘지시화행 문형의 전수 목록’을 제시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 나, 지시화행을 수행하는 발화 중 고빈도로 나타나는 형태를 그 쓰임과 함께 보이는 것은 사용의 양상을 구체화하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시화행 발화에서 사용되는 문형 중 몇 가지를 그 담화적 쓰임과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3] 사용적 측면 사용적 측면은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맥락에 관한 부분이다. Brown & Gilma n(1960:253-276)에서는 인구어의 2인칭 대명사의 존칭과 평칭을 힘(Power)와 유대 관 계(solidarity)로 설명한 바 있다. 이때 힘은 화자와 청자 사이에 존재하는 사회적 지 위 관계를 의미하며, 유대 관계는 화자와 청자가 서로에게 느끼는 결속감, 즉 친소관 계에 관한 것이다.25) 이 연구에서는 유대 관계를 친밀함(intimacy), 가까움(closeness), 25) Erivin-Tripp(1972), Wierzbicka(1991) 참조. - 25 - 공유된 운명(shared fate)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화자와 청자의 관계가 언어 사용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 지위 관계, 유대 관계, 성별 관계, 연령 관계를 중심으로 화청자의 관계를 연구의 범주에 포함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지시화행의 사용적 측면에서는 지시화행 발화가 나타나는 상황의 격식성 에 대한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시화행이 나타나는 상황의 격식성을 구 체적으로 장소와 주제로 구분하여 접근하고자 하는데, 장소의 격식성은 격식성(fomali ty)에 해당하고, 주제의 격식성은 공적(publicity)을 가리킨다. 격식성의 판단 요소로는 [국가/집단 관련 여부], [집단 청자 대상 여부], [제도성 여부], [업무성 여부]가 포함되 며, 장소 중에 격식성이 나타나지 않는 길, 도로, 버스정류장 등은 ‘무표’로 볼 수 있다 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지시화행의 사용에는 한국어 언어권 화자들이 공유하는 공손함에 대한 문화 혹은 의식이 작용한다고 보았다. Wierzbica(1991:88)은 ‘직접성(directness)과 간 접성(indirectness)이 대개 설명이 필요 없는 언어학적 개념으로 여겨지지만, 사실상 이것은 문화권에 따라 완전히 다른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연 구에서는 Blum-Kulka & Danet & Gherson(1985:133)에서 기술하고 있는 직접성의 등급은 개별 문화권에서의 가치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 것이며, 요청의 표준적인 절 차나 화행의 적절성은 문화권마다 다를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지시화행에 작용하는 공손성에 대한 가치(vale) 문화를 지시화행의 사용 양상과 연계 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1.4. 연구의 절차 및 논의의 구성 지시화행은 언표적으로 나타나는 축자적인 의미 이상의 사용 의미 및 효과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인지적인 조건에 의해 정의하는 것은 실제 지시화행의 사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시화행 발화가 사용되는 담 화 환경을 맥락 분석적 접근에 입각하여 면밀히 분석하고 이로 말미암아 지시화행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담화 참여자 간의 맥락 요인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나는 드라마 발화 말뭉치를 분석의 자료로 삼았으며 이에 나타나는 지시화행 발화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이에 대한 담화문법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절차는 아래 과 같다. 연구의 설계 1 단계 담화 이론의 정리를 통해 담화문법 분석의 틀 고안 2 단계 균형성을 갖춘 맥락 분석 말뭉치의 구축 ⇩ 파일럿 테스트 3 단계 축소 말뭉치를 토대로 유의미한 맥락 요인 변별 ⇩ 분석 4 단계 담화적 특성에 따른 화행 체계에 대한 기술 5 단계 문형의 담화적 유사성과 화행 수반 양상 분석 6 단계 헤지 공손 기능에 따른 문형과 화행의 사용 분석 ⇩ 결론 7 단계 지시화행의 담화문법적 특성 정리 연구의 절차 위와 같은 절차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논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 서는 구체적인 분석에 들어가기에 앞서 이론적인 정리를 통해 담화문법의 기틀을 고 안하기 위한 개념들을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담화와 텍스트를 변별하고, 담화와 맥락 간의 관계를 규정하였으며, 화행과 기능의 차이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 본 연 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공손 이론의 개념과 헤지 이론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약 8만 어절로 말뭉치의 크기를 축소하여 지시화행 연구에 서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맥락 요인에 대하여 파일럿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유의성 검 증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성별 요인과 연령 요인을 제외한, 지위 관계, 유대 관계, 청자의 실제 행위 여부, 장소의 격식성, 주제의 격식성 등이 지 - 27 - 시화행 발화에 유의미한 작용을 하는 맥락 변인으로 추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나타난 맥락 요인을 중심으로 강제적 지시화행의 하위 유 형인 명령화행, 권고화행, 요구화행, 금지화행과 비지시적 지시화행인 요청화행, 제안 화행, 제의화행, 충고화행, 그리고 준지시화행인 허락화행의 담화적 사용 양상을 말뭉 치에 대한 기술 통계 자료에 입각해 분석하였다. 또 다중대응분석을 통해 이들 변인 이 복합적으로 적용할 경우 화행이 어떠한 유사성을 가지고 분포하는가를 제시하였으 며 이에 대한 유의성은 카이검정 제곱을 통해 검증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들 화행에서 고빈도로 나타난 문형을 다중대응분석표를 통해 담화적 유사성 군집에 의해 제시하였고, 이들의 사용에 작용하는 담화 요인에 대하여 상술하 는 동시에 추가적으로 담화상에서 수반하는 담화 기능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6장에서는 지시화행을 수반하는 문형이 담화상에서 헤지 공손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앞서 분석한 화행과 문형의 연관성을 담화 단위에서 통합적으로 다루고자 한 것이며, 이로 말미암아 지시화행에 대한 담화문법 기술의 실례를 보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28 - 2. 이론적 토대 2.1. 담화와 맥락 2.1.1. 담화와 텍스트 담화에 대한 견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 제시되는데, 첫째는 담화를 텍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정하는 관점이다(‘텍스트⊃담화’). 이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1 4ㄱ) Stubbs(1983:1)가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와 담화의 관계가 문장과 발화의 관계와 같다고 기술하여, 텍스트는 표본적인 것, 정량적인 것, 문서화된 것을 의미하 는 한편, 담화는 표현되어진 것, 변이를 포함한 것, 구두로 발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다음은 텍스트와 담화를 대립적으로 생각하는 관점으로, 이 경우에는 텍스트는 문 어, 담화는 구어를 가리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14ㄴ)에서 보이듯, 이러한 관점을 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연구인 Crystal(1987:116)에서는 텍스트의 하위 유형으로 에세 이, 표지판, 광고 등을 제시하였고, 담화의 하위 유형으로는 인터뷰, 대화 등을 제시하 였다. 마지막으로 담화를 텍스트보다 큰 단위로 설정하는 관점이 있는데(텍스트⊂담화), 대표적인 연구로는 Halliday & Hasan(1976: 1-2)이 있다. 이때 (14ㄷ)에서 텍스트(tex t)는 사실상 담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어와 문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문어 텍 스트에 한정하는 텍스트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후에 Halliday(197 6) 후속 연구를 통해 ‘담화(discourse)’로 명명된다. (1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