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ikastos
구어 담화상에서 발생하는 지시화행의 사용 양상 분석 본문
본 연구에서는 기능주의적 관점인 ‘사용되고 있는 언어로서의 담화’에 집중하여, 담 화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과 그 상황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언어 행위’로 정의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구어 담화상에서 발생하는 지시화행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구어성이 높은 준구어 자료인 드라마 담화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드 라마 담화에서 나타나는 장면이 일상, 업무, 연설, 취재 등 공통된 의사소통 목적을 중심으로 구분된 것을 ‘장르’로 보았으며, 담화상에서 나타나는 장소의 격식성(formalit y)과 비격식성(informality), 주제의 공적(public) 속성과 사적(private) 속성을 ‘사용역’ 으로 기술하였다. 2.1.2. 담화의 단위 담화의 기본 단위에 대한 논의는 아래 에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대표적 인 기본 단위인 문장(sentence)은 의미적, 구조적인 기준에 의해 설정된 것이며, 절(cl ause), t-unit은 구조적 기준에 입각해 설정된 것이고, 인지적인 차원의 기준이 고려된 개념에는 화제 단위(center of interest)가 있으며, 음향․청각적 기준을 반영하게 제시 된 단위에는 라인(line), 억양 단위(intonation unit), 발화(utterance), 억양 그룹(tone g roup) 등이 있다. - 33 - 담화의 단위 단위에 대한 정의 기준 문장 (sentence) 주어와 술어로 구성된 생 각의 표현 의미적, 구조적 절 (clause) 주어+정동서+보어 구조적 t-unit (Hunt 1966) 주절+ 내포절 혹은 종속 절 구조적 라인 line (Hyume 1968) 억양, 통사적 완전성, line-initial 표지를 통해 표시 됨. 음향․청각적, 의미적, 구 조적, 기능적, 미학적 억양 단위intonation unit (Chafe 1994) 단일한 인지적 ‘의식 초점’ 을 표현하는 단어의 무리 인지적, 음향․청각적, 구 조적 화제 단위 center of interest (Chafe 1994) 그 각각이 대략 하나의 술 부에 해당되는 억양 단위 들의 무리. 대개 문장과 유사한 형태이며, 종결억 양을 가짐. 인지적, 구조적 발화 utterance (Crookes 1990 ) 단일 억양을 갖는 발화의 지속. 음향․청각적, 의미적 억양 그룹 tone group (Crystal 1976) 하나의 두드러지는 pitch nucleus와 하나 이상의 다 른 음절로 구성된 발화의 지속. 음향․청각적 담화의 기본 단위 (B. Johnatone 2008:86 재인용) 한편, Halliday(1985/2014를 중심으로 한 체계 기능 문법에서는 담화의 가장 작은 구조를 발화 내의 기능 단위로 구분하고, 이들이 모여 하나의 기능에 따라 단계(step) 을 구성하며 이들이 동일한 화제(small topic)를 중심으로 이동마디(move)를 구성한다 고 보았다. 이때에 이동마디(move)는 일종의 문단 같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들이 모여 전체 담화(text)를 구성한다고 보았다. (16) ㄱ. 연결사(connector), 주요 참여자(participant), 과정(process), 내용(How the main participant is defined or described) ㄴ. 단계(step) - 34 - ㄷ. 이동마디(move) ㄹ. 담화(Text) 이 연구에서는 아래 과 같이 대화 기능을 유형화하면서 무브의 구성 요 소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한 바 있는데, 아래에 따르면, 여러 순서교대(turn-taking)로 구성된 단계(step)의 연속체가 동일한 화제, 즉 대화 기능으로 묶이는 단위인 ‘무브’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무브는 시작 발화와 응답 발화로 구성되며, 이는 시작의 역할이 수여하는 것인지 요구하는 것인지에 따라 구분되고, 또 그 내용 이 정보인지, 재화 및 서비스인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고 하였다. Halliday(2014) 무브 구성 - 35 - 무브를 구성하는 최초의 단위인 발화(utterance)에 관한 연구로는 대표적으로 아래 (17)과 같이 유필재(1984), 신지연(1998), 전영옥(2003), 김태경 외(2005), 조민하(2011), 이병규(2014) 등이 있다. 그 중 이병규(2014:127)에서는 발화가 문장, 단어, 형태소, 음 운 등 랑그에서 다루는 추상적 개념과는 층위가 다른 것이라고 지적하며, 구체적 실 재로서의 단위라고 주장하였다. (17) 발화의 정의 ㄱ. 음운론적으로 양 끝에 휴지를 가진 완결된 단위 (유필재 1994) ㄴ. 문종결 어미나 수행 억양으로 구분되고 의미상으로 한 덩어리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 (신지연 1998) ㄷ. 전체적인 억양의 통일성을 가지고, 단위의 시작에서 기본 피치로 다시 시작 하며 휴지가 오고, 빠른 음절의 연쇄 현상이 나타나며 단위의 끝에는 장음이 오는 운율 단위 (전영옥 2005) ㄹ. 음성을 통한 언어 형식으로 의사소통 행위 가운데 실현되어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실체 (김태경 외 2005) ㅁ. 화자의 발화 의지 및 의도가 운율적으로 완료된 의사소통의 기능 단위 (안병섭 2008, 조민하 2011) ㅂ. 구체적 실재로서의 단위 (이병재 2014) 아래 은 전영옥(2006:294)에서 제시한 구어의 단위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 르면 구어의 단위는 억양 단위이며, 따라서 발화를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억 양’의 종결 의미에 있다고 하였다. 이때 억양 단위는 발화(utterance)에, 순서교대 단위 는 말차례(turn-taking)에, 대응쌍은 단계(step)에, 화제 단위는 무브(move)에 대응한 다고 볼 수 있다. 구어의 단위 – 발화의 단계 - 억양 단위 - 상호작용의 단계 - 순서교대 단위 - 대응쌍 - 담화 구성의 단계 - 화제 단위 구어의 단위 (전영옥 2006) - 36 - 발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합의하는 바는 발화가 추상적인 개념이 아 니라 실재적인 것이므로, 이는 억양의 실현을 토대로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 나 본 연구는 말뭉치를 기반으로 지시화행에 접근하기 때문에 개별 발화의 모든 억양 을 측정할 수 없다는 자료 차원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구어의 대화에 서는 화청자 사이에 말차례 빼앗기나 겹침 등 발화를 ‘발화문’으로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사용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에 이를 발화문의 정의를 토대로 구분하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연구 과제라고 판단된다. 이에 대개 말뭉치를 기반으로 담화 분 석을 하고 있는 한국어교육 연구들은 문장부호를 중심으로 발화문을 정의하는 경향성 도 있으나(박지순 2015 등), 이러한 방식은 곧 ‘문장’ 단위로의 회귀를 의미하는 측면 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순서교대 즉 말차례 단위를 기본 발화의 단위로 삼아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2.1.3. 맥락의 정의 및 유형 ‘맥락’이 언어 연구에서 지니는 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9세기 이후의 언어학 연 구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개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세기 초는 Bloomfield (1939)를 필두로 한 구조주의 언어학이 지배적이었던 시기로, 오직 문장 내의 단어와 형태소들의 실제 형식과 배열에 관한 엄격한 형식 문법이 선호되었다. 그러나 그 후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구조주의 언어학의 영향을 받은, 혹 은 그에 반하는 경향성의 이론들이 부각되기 시작한다. 크게는 Chomsky(1980)로 대 표되는 변형 생성 문법과 Saussure(1916, 1968) 구조주의 및 포스트모더니즘, 미국 사회언어학의 시초를 제공한 인류학자 Sapir(1921) 언어 상대주의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블룸필드 학파가 대부분 행동주의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구체적인 언어의 산출 자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면, Chomsky(1980)는 인간이 선험적으로 지니고 있는 언어 능력에 관심을 두었으며, 보편적인 문법 규칙을 찾는 데에 방점을 두었다. 이러한 촘 스키의 경향에 반하는 흐름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연구가 Firth(1934)인데, 그는 블룸 필드 구조주의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행동주의적 방법론의 한계를 지적하며, 최초로 ‘상황 맥락’을 언어 분석에 도입해야 할 필요성에 대하여 제기한 연구라고 할 - 37 - 수 있다. 아래 (18)은 인류학자인 Malinowski(1923) ‘상황 맥락(context of situation)’에 대 한 기술이다. Firth(1951)을 통해 언어학에 처음으로 도입되는 이 개념은 훗날 60년대 이후 미국의 Halliday(1976) 체계기능문법의 탄생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30)
'국어국문학, 풍월을 읊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 문법적 사고관과 인간의 의사소통 (0) | 2020.09.04 |
---|---|
발화의 상황적 맥락과 지향하는 목적 (0) | 2020.09.04 |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구어의 구조 (0) | 2020.09.04 |
지시화행 발화의 화용소의 형태적 요소 (0) | 2020.09.04 |
한국어에서 지시화행의 발화에 대한 연구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