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dikastos

윤동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연구 본문

국어국문학, 풍월을 읊다

윤동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연구

②℃ 2020. 9. 3. 08:00

Ⅰ. 서론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윤동주는 일제 강점기를 살다가 일본의 후쿠오까 감옥에서 1945 년 2월에 생을 마감했다. 사후에 그의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나오면서 윤동주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윤 동주의 시 연구는 각 분야에서 활발히 전개되어 왔다. 그 동안 윤 동주의 시는 몇 가지 시각에서 연구되었는데, 1960년대 중반 이후 부터 찬양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시인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연 구 및 비평의 출발점을 이루었다. 1970년대에는 윤동주 연구가 활 기를 띠고 그의 시에 대한 재평가가 시작되었다. 특히 1980년대에 와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연구의 관심 이 줄어든 상태이다. 윤동주에 대한 연구는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윤동주에 대한 연구는 저항시 문제 여부에 관한 연구 들이다. 먼저, 김윤식·김현은 윤동주와 이육사를 식민지 후기의 저 항시인으로 규정하였고, 그의 시는 한용운의 시가 슬픔을 이별의 미학으로 승화시켜 식민지 치하의 정서에 하나의 질서를 부여한 것과 같이, 식민지 치하의 가난과 슬픔을 부끄러움의 미학으로 극 복하여 식민지 후기의 무질서한 정서에 하나의 질서를 부여한다1) 고 했다. 김우종 또한 그를 일제 말기 우리 문학의 생명을 이어나간 최 종의 횃불이라 칭하면서 “그의 문학은 서정문학으로서, 그리고 민 1) 김윤식·김현, 『윤동주, 혹은 순결한 젊음』(민음사, 1973), 72쪽. - 2 - 족적 저항정신과 순교적 사명 정신이 뜨겁게 나타난 유일한 문 학”2)으로 보았다. 백철은 “1942년대를 문단의 암흑기라고 했으나, 윤동주의 시를 발견한 뒤, 암흑시대는 레지스탕스 시대로 그 제목 을 바꾸어야 겠다”며3) 저항성을 강조하였고, 정병욱은 “압박받는 불행한 조국의 최후를 수호한 민족의 血書”4) 로 평했다. 홍기삼은 “어둠을 밝힐 등불이 되기 위하여 스스로 십자가를 택하고 의연히 시대처럼 올 아침, 역사의 아침, 민족 해방의 아침을 기다리는 저 항시인”5)이라고 민족의 정서와 저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용 직도 “내면의식, 형태와 구조, 시적 상징의 측면에서 윤동주의 시 사적 위치를 청록파의 문단진출이 이루어진 후로 잡아야 한다” 6) 며 윤동주의 시를 저항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했다. 둘째는 윤동주의 시를 인간의 내면적 고뇌로 보려는 견해가 있 다. 정한모는 ‘내면적인 저항의식과 운명애’는 실상 윤동주 시정신 의 근간이 된다고 했다. 이처럼 윤동주의 시는 자연애와 휴머니즘 그리고 향수와 동경 및 운명에로의 연쇄로 짜여져 있는데 그 특징 이 있다고 하였으며 윤동주의 시사적 위치를 일제의 마지막에서 해방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7) 최동호는 윤동주 시 의 시간 흐름에 따른 일관된 갈등 전개의 논리를 폈다. 그의 시적 의식을 내향적 의식과 외향적 의식으로 나누고 전자는 본질적이며 자아 내적 탐구의 성향을 갖는 것이며 후자는 내향적 의식을 극화 시켜 시대적 의미의 추구와 새로운 세계에로의 동경이라고 하였 다. 이 두 지향성의 통합을 보여주는 작품이「서시」8)라고 하였다. 2) 김우종, 「암흑기 최후의 별」, 『윤동주 연구』(문학사상사, 1995), 152쪽. 3) 백 철, 『신문학 사조사』(백양당, 1949), 374~400쪽. 4) 정병욱, 「동주형의 추억」,『윤동주 시집』(정음사, 1980), 244~245쪽. 5) 홍기삼, 「고독과 저항의 세계」,『월간문학』(1974. 7), 177쪽. 6) 김용직, 「윤동주시의 특질과 시사적 의미」,『심상』(1975. 5), 55쪽. 7) 정한모, 「윤동주 시의 특질과 시사적 의미」, 『심상』(1975. 8), 89쪽. 8) 최동호, 「현대시의 의식현상」,『현대시의 정신사』(열음사, 1985), 34쪽. - 3 - 이 글은 윤동주 시 이해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신동욱은 윤동주의 시세계를 1940년을 전후하여 양분하고 전반부는 ‘외로움을 통한 자아발견’이고, 후반부는 ‘부끄 러움의 시학’이라 하였다. 9) 특히 이 글은 작품의 창작연대를 다루 면서 윤동주 시세계의 전개를 파악하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우 창은 윤동주의 양심이 외부적 도덕률에 유도되어 나온 것이 아니 라 자신의 삶에 대한 끊임없는 내적성찰에서 얻어진 것이라 하고 이러한 자아의식은 한편으로는 나르시즘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실 존적 자기 확인행위인데 이러한 바탕에서의 양심이란 가혹한 시대 적 상황에서 비극적 행동으로 귀결한다10)고 했다. 셋째는 윤동주가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그의 작품을 시대적 어둠에 대응하는 기독교적 이념에 입각한 기 독교 문학으로 보려는 견해가 있다. 이런 견해를 바탕으로 한 최 문자, 11) 강신주, 12) 김승봉, 13) 박춘덕, 14) 정호승15) 등의 연구가 있 다. 이상의 연구들을 보면 윤동주의 기독교 세계도 다양한 측면에 서 그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윤동주의 기독교적 세계관에 대해서 사회적·역사적인 연계는 미흡했다. 윤동주의 옛 친구인 문익환은 그의 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의 시는 곧 그의 인생이었고, 그의 인생은 극히 자연스럽게 종교적이기도 했다 그에게도 신앙의 회의기가 있었다. 연희전문 시대가 그런 시기였던 것 같다. 그런 데 그의 존재를 깊이 뒤흔드는 신앙의 회의기에도 그의 마음은 겉으로는 여전히 잔 9) 신동욱, 「하늘과 별에 이르는 시심」,『나라사랑』(외솔회, 1976), 48쪽. 10) 김우창, 「손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곳에서」,『윤동주 연구』( 문학사상사, 1976), 155쪽 11) 최문자,『현대시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의 해석』(민음사, 1999), 55쪽. 12) 강신주,『한국현대기독교 시 연구』(민음사, 1991년), 44쪽. 13) 김승봉, 『윤동주 문학에 나타난 사상과 기독교 역사의식』(민음사, 1998), 72쪽. 14) 박춘덕, 「한국기독교 시에 있어서 삶과 신앙의 상관성 연구 - 윤동주, 김현승, 박두진을 대 상으로」(민음사,1993년), 86쪽. 15) 정호승,「윤동주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세계관」(경희대학원석사논문,1985. 2)), 34쪽. - 4 - 잔잔한 호수 같았다. 시도 억지로 익히지 않았듯이 신앙도 성급히 따서 익히려고 하 지 않았던 것이리라. 그에게 있어서 인생이 곧 난 대로 익어 가는 시요 신앙이었던 것 같다16) 넷째는 형식이나 기법에 관한 연구가 있다. 김현자는 윤동주의 시의 이미지를 아청색으로 대변하고, 그 시어와 은유 대부분이 자 연을 대상으로 한다고 하였다. 또한 윤동주의 시가 영혼의 것을 소유하고 그것을 인간적인 것으로 만들려는 시도17)라고 보았다. 김수복은 원형 상징의 면에서 ‘종교’가 윤동주의 성서적 체험과 관련되고, ‘빛’과 ‘물’이 자아 동일성을 이루려는 신념을 표현하며, ‘물’은 순환 주기에 따라 그 이미지가 제시된다고 하였다. ‘방’은 「또 다른 고향」등에서는 정신적 세계를 지향하는 공간으로 작용 한다18)고 했다. 또한 마광수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들 을 분석하는 것으로 자연표상으로서의 상징, 시대 및 역사적 상황 의 상징, 내적 갈등 및 소외의식의 상징, 사랑과 연민의 상징, 종 교적 표상으로서의 상징 등 크게 다섯 가지로 상징체계를 나누 어19) 고찰했다. 이사라는 기호론적 측면에 입각하여 ‘서시’를 예로 윤동주의 시 가 부정-매개-긍정의 기호 체계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그 중 매 개항은 부정과 긍정의 대립 사이에서 작용하거나 부정항을 긍정항 으로 바꾸기로 한다20)고 해석한다. 다섯째 윤동주의 시를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연구한 논문이 16) 문익환, 「동주형의 추억」,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1968), 75쪽. 17) 김현자, 「윤동주 시의 원형상징 연구」, 『소천 이헌구 선생 송수기념논총』(을유문화사, 1970), 45쪽. 18) 김수복, 「윤동주 시의 원형상징 연구 (1) - ‘종교’ ‘빛’ ‘물’ 의 형상고」(단국대대학원석사논 문, 1985. 2), 21쪽. 19) 마광수, 「윤동주 연구 - 그의 시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을 중심으로」(연세대대학원박사논문, 1983. 2), 52쪽. 20) 이사라, 「윤동주 시의 기호론적 연구」(이화여대대학원박사논문, 1987. 2), 32쪽. - 5 -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