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ikastos
발화와 언어적 맥락 그리고 다면적인 속성 본문
이 연구에 따르면 발화 (utterance)는 좁은 언어적 맥락(local linguistic context), 넓은 언어적 맥락(wider linguistic context), 좁은 상황적 맥락(local situational context),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wider socio-cultural context) 안에서 구성되며, 이러한 맥락은 분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 이고, 다면적인(multifaceted) 속성을 지닌다고 기술하고 있다. 다만, 맥락 요인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에 이러한 가시적 표현이 필요하다고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속성은 ‘단계’의 문제가 아니라 ‘층위’의 문제라고 보아 그 ‘층위’로서의 속성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3차원으로서 제시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고 보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맥 락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2장에서 기술하였다. - 16 - 이다. 이렇게 문장의 차원이든, 단어의 차원이든, 혹은 그 이하의 차원이든, 화자의 의 도가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을 ‘발화(utterance)’라고 하며,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달 하고자 하는 의도가 나타나있는 발화나 발화의 연쇄’를 ‘담화’라고 한다(Celce-Murcia & Olshtain 2000). ‘담화’가 사실상 최근에 만들어진 개념이 아님에도, 연구자에 따라 여전히 생소하게 여겨지고, 각 용어들의 뚜렷한 계보가 그려지지 않는 것은 분야 간에 ‘담화’에 대한 정의와 접근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담화의 정의는 아래 에서와 같이 크게 4가지 차원에서 정리할 수 있다.21) 언어적 맥락 상호언어적 맥락 상황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발화 ⓓ 담론으로서의 담화 ⓑ 상황유형으로서 의담화 ⓐ 장르(텍스트) 로서의 담화 ⓒ 언어행위로서 의 담화 담화에 대한 다양한 접근 먼저, 담화는 텍스트의 유형, 즉 ‘장르(genre)’로서의 담화를 의미한다. 이때의 담화 는 ‘텍스트(text)’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고, 텍스트와 상·하위 관계를 맺고 있는 구 성 요소로 다뤄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담화에 접근한 논의로는 조국현(200 1, 2007), 김정남(2008) 등이 있다. 아래 (8)은 김정남(2008:5) 담화에 관한 기술이다. 이때의 담화는 주로 텍스트언어학이나 국어교육의 관심이 되며, 설명문, 수필, 안내문 등 완성된 텍스트로서의 담화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담화는 주로 구어 (spoken language)와 대립되는 문어(written language)를 의미하기도 한다.22) 21) 이원표(사회언어학 사전, 2012) 정리를 참조하면, 담화에 대한 정의는 크게 세 가지 방향 성을 지니고 있는데, 첫째는 문장 이상의 언어적 단위로서, 텍스트와 유사한 개념이고, 둘째 는 언어 사용의 유형으로서의 담화, 즉 장르성을 반영한 언어사용의 결과물을 의미하며, 셋 째는 담론으로 번역되는 것으로 힘의 관계를 생성, 유지, 재생산시키는 텍스트 생산 및 해석 과정으로서의 담화이다. 22) 이관규(2012) 등에서는 담화와 텍스트를 ‘구어’와 ‘문어’를 가리키는 상보적 관계로 기술하고 - 17 - (8) ‘텍스트’ 유형은 하나의 완결된 형식을 의미하는 좁은 의미의 텍스트의 장 르를 말하는 것으로, ‘담화’ 유형은 하나의 텍스트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기술 양 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즉, 학술보고서가 하나의 텍스트 유형이라면 그 텍스트 속에 들어 있는 진술, 주장, 논증, 분류, 구분 등은 담화 유 형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김정남 2008:5). 둘째, 담화는 ‘상황 유형(situation type)’을 의미하기도 한다. 대화 분석(Converastio n Analysis) 등에서 주로 관심을 두는 상황 유형은, 회의, 은행업무, 진료 등 의사소통 이 발생하는 장면을 가리킨다.23) 이때의 담화는 주로 구어 담화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 한국어교육에서의 상황 유형 연구는 맥락적 요인에 따른 문법 형태의 사용을 분석하는 맥락 문법 연구에서 활발히 다뤄져 오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강현화(2012)에서는 한국어 담화에서 부정 표현을 사용함에 있어 작용하 는 맥락 요인을 아래 (9)와 같이 제시한 바 있다. (9) 언어교육에서 의미를 가지는 상황 맥락의 주요 요소 (강현화 2012:402) ㄱ. 화자, 청자, 화청자 관계 정보 ㄴ. 물리적 상황(시간, 장소) ㄷ. 발화 의도(상호작용 목적) ㄹ. 텍스트의 형식 및 장르 ㅁ. 사회적 맥락/심리적 맥락 ㅂ. 문화적 맥락/역사적 맥락 셋째, 담화는 언어행위(speech act)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는 개별 발화가 지니는 ‘담화 기능(function)’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어교육에서는 개별 문형이 맥락 속에서 지니는 언표내적 의미와 언향적 의미를 포괄하여 ‘기능’이라고 명 명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학습자가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해야 하는 학습 목표로서의 담화적 기능을 의미한다. 아래 (10)은 이러한 언어행위로서의 담화에 대해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이다. 있다. 23) Schegloff & Jefferson(1974) 참조. - 18 - (10) 언어행위로서의 담화 ㄱ. (담화) 기능 ㄴ. 맥락 기능 ㄷ. 화용적 기능 ㄹ. 의미·기능 ㅁ. 화행적 의미 ㅂ. 화행적 기능 ㅅ. 전략 마지막으로 담화는 ‘담론(談論)’을 뜻하기도 하는데, 이는 ‘사회적 실행(practice)’을 의미한다(Fairclough 1989). 박철우(2017:4)에서는 이를 ‘언어와 (역사나 제도 같은) 그 것의 구체적인 맥락들에 뿌리를 두고 있는 지식, 사상, 경험을 조직하는 양식’이라고 기술하기도 하였으며, 이때 ‘담론’을 ‘담화’로 옮기면 어색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하였 다. 즉 사회적 실행으로서의 담화는 앞선 세 가지 관점의 담화와는 사뭇 다른 차원으 로 볼 수 있는데, 단지 실제 세계를 언어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 (11)에서 와 같이, ‘그 자체로 사회적 실천 관행이기도 하고, 다른 여러 가지 실천 관행과 더불 어 사회 구조를 형성하기도 하며, 그것에 의해 결정되거나 영향을 받기도 한다(김현강 2014)’는 것이다. 이때 그 자체로 사회적 실행을 의미하는 것은 ‘담화’에, 그 사회적 실 행의 결과로 사회적 효과나 이데올로기(ideology) 작용으로서 형성되는 것은 ‘담론’에 가까운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11) 사회구조와 담화(Fairclough 1989, 김현강 2014: 31 재인용) 사회 구조(social structure) ↕ 실천관행, 담화(practice, discourse) 이 중,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담화의 개념은 ‘ⓑ상황 유형으로서의 담화’에 가 까우며, 개별 발화가 수행하는 ‘ⓒ담화 기능’으로서의 담화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담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손성의 기제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서의 담화’ 속에서 분 - 19 - 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고의 ‘담화(discourse)’는 ‘한국어 언어문화권의 작용 속 에서 화자와 청자가 의사소통을 수행하고 있는 상관적, 단독적 상황’을 의미한다. He wings & Hewings(2005:22)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 유형으로서의 담화에 속하는 요소 로는 시간(time), 장소(location), 대화 참여자의 나이(age), 성별(gender), 지위(status) 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담화를 구성하는 동시에 화자의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맥락(context)’으로 정의하고, 맥락에 따른 문법 사용의 분석이 ‘담화문 법’의 내용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Larsen-Freeman(2003)에서는 담화문법의 주요한 세 가지 구조를 아래 과 같이 제시하였다. 담화문법의 3차원적 구조 출처: Larsen-Freeman (1995, 2001, 2003) Larsen-Freeman(2003)에서 제시하는 담화문법의 3차원적 구조에서는 ‘어떻게 형태 를 이루는가?’, ‘그 형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언제, 왜 이것이 사용되는가?’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문법 틀을 구성한다고 하였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문법(gram mar)을 문법하기(grammaring), 즉 ‘사용으로서의 문법’으로 보아야 할 필요성에 대하 여 제기하였다.
'국어국문학, 풍월을 읊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시화행 발화의 화용소의 형태적 요소 (0) | 2020.09.04 |
---|---|
한국어에서 지시화행의 발화에 대한 연구 (0) | 2020.09.04 |
화행과 기능과 요청의 전략 (0) | 2020.09.04 |
협의의 상하관계와 지시 그리고 명령 (0) | 2020.09.04 |
담화적 차원에서 지시 화행의 정의와 유형 (0) | 2020.09.04 |